-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의 목적은 엑셀에서 프린터 목록이 비활성화되거나 보이지 않아 인쇄할 수 없는 문제를 진단하고, 현장에서 즉시 적용 가능한 단계별 해결 절차와 예방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상 정의와 신속 진단 흐름
엑셀에서 인쇄 대화상자(파일 → 인쇄) 진입 시 프린터 선택 콤보박스가 회색으로 비활성화되거나,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와 유사한 메시지가 표시되어 장치를 선택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동일 PC의 다른 앱(메모장, 브라우저 등)에서는 인쇄가 가능한데 엑셀에서만 선택이 막히는 경우와, 모든 앱에서 프린터가 보이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아래 표를 통해 우선 분류를 진행한다.
현상 | 주요 원인 | 최우선 조치 |
---|---|---|
엑셀에서만 프린터 콤보 비활성 | 엑셀 프로필 손상, 추가기능 충돌, 권한 상승 실행, 임시파일 손상 | 엑셀 안전 모드 실행, 추가기능 비활성, %TEMP% 정리, Office 빠른 복구 수행 |
모든 앱에서 프린터 미표시 | Print Spooler 중지, 드라이버 손상, 포트/WSD 문제, GPO 제한 | Print Spooler 초기화, 기본 프린터 재지정, 드라이버 재설치, 정책 확인 |
원격/VDI에서만 미표시 | Easy Print 비활성, 세션 프린터 매핑 실패, 프로필 리디렉션 | 세션 정책 점검, 드라이버 일치화, 프로필 캐시 초기화 |
1단계: 엑셀 자체 문제 제거
1.1 엑셀 안전 모드로 재현 여부 확인
엑셀을 완전히 종료한 뒤 실행 대화상자에서 아래 명령으로 안전 모드로 기동한다.
Win + R excel.exe /safe
안전 모드에서 프린터 선택이 가능하다면 추가기능 충돌 또는 사용자 프로필 관련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을 순서대로 수행한다.
- 파일 → 옵션 → 추가 기능 → 관리: COM 추가 기능 → 이동 → 전체 해제 후 하나씩 활성화하며 원인 식별한다.
- 개체 연결(OLE)/DDE 자동 실행 애드인의 영향이 의심되면 “Excel 추가 기능”과 “COM 추가 기능”을 모두 비활성화하여 비교한다.
1.2 권한 상승 실행 여부 점검
엑셀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UWP 기반 프린터 드라이버 또는 일부 사용자 범위 드라이버가 열거되지 않는 사례가 있다. 작업 관리자에서 엑셀을 종료한 뒤 일반 권한으로 다시 실행한다.
1.3 임시 파일과 인쇄 캐시 정리
임시 스풀 데이터나 엑셀 임시파일 충돌로 콤보박스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아래 순서로 정리한다.
1) 모든 Office 앱 종료
2) 파일 탐색기 주소창에 %TEMP% 입력
3) 표시된 파일/폴더를 최대한 삭제
4) 파일 탐색기 주소창에 %appdata%\Microsoft\Excel 입력 후, 최근 캐시 파일 정리
1.4 Office 복구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Microsoft 365 또는 Office 선택 → 변경 → 빠른 복구 실행 후 재부팅한다. 개선이 없으면 온라인 복구까지 고려한다.
2단계: Windows 인쇄 서브시스템 복구
2.1 Print Spooler 초기화
스풀러가 중지되었거나 스풀 폴더에 손상된 대기 파일이 남아 있으면 모든 앱에서 프린터가 인식되지 않는다. 관리자 권한 PowerShell 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을 실행한다.
net stop spooler del /q /f %systemroot%\System32\spool\PRINTERS\*.* net start spooler
2.2 기본 프린터 재설정 및 자동 관리 끄기
Windows의 “Windows에서 기본 프린터를 관리” 옵션이 켜져 있으면 네트워크 환경에서 엑셀이 대상 장치를 즉시 열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설정에서 비활성화하고 기본 프린터를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설정 → 블루투스 및 장치 → 프린터 및 스캐너 - "Windows에서 기본 프린터를 관리" 끄기 - 원하는 프린터 선택 → 기본으로 설정
PowerShell로도 확인 가능하다.
Get-Printer # 목록 확인 후 (Get-Printer -Name "프린터이름").Default # True/False 확인
2.3 가상 프린터 재등록
엑셀에서만 문제가 재현될 경우라도, 시스템의 가상 프린터가 비활성화되면 인쇄 서브시스템 열거에 영향을 준다. 가상 프린터를 추가하여 동작을 점검한다.
설정 → 프린터 및 스캐너 → 프린터 또는 스캐너 추가 - Microsoft Print to PDF 선택하여 추가 - Microsoft XPS Document Writer 추가 확인
2.4 드라이버 재설치 및 포트 점검
네트워크 프린터의 경우 포트가 WSD로 구성되어 간헐적 인식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고정 IP가 있는 경우 “표준 TCP/IP 포트”로 전환하여 안정성을 높인다.
제어판 → 장치 및 프린터 → 프린터 우클릭 → 프린터 속성 - 포트 탭 → 포트 추가 → 표준 TCP/IP 포트 - 프린터 IP 입력 → 마침
드라이버는 제조사 최신 패키지로 교체한다. 제거는
printui.dll
을 사용하면 깔끔하다.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dd /m "드라이버_정식_이름" /h "x64" /v "Type 3 - User Mode"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ia /m "드라이버_정식_이름" /h "x64" /v "Type 3 - User Mode" /f "C:\Drivers\driver.inf"
3단계: 조직 환경(AD·GPO·VDI) 이슈 점검
3.1 GPO로 인쇄 차단 여부
회사 PC에서 인쇄 접근이 정책으로 제한되면 엑셀의 프린터 목록이 비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IT 담당자에게 다음 항목을 확인 요청한다.
- 사용자 구성 → 관리 템플릿 → 제어판 → 프린터 → 프린터 추가 방지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프린터 → 포인트 앤드 프린트 제한
- 드라이버 설치 제한 정책(장치 설치 제한)
3.2 원격 데스크톱/VDI 세션 프린터
세션 리디렉션이 꺼져 있거나 Easy Print가 비활성화되면 세션 내 프린터가 보이지 않는다. 연결 옵션에서 “프린터” 리디렉션을 켜고, RD 세션 호스트의 정책을 확인한다. 일관성을 위해 로컬과 VDI에 동일 드라이버를 유지한다.
4단계: 사용자 프로필·레지스트리 정합성 복구
4.1 사용자 프로필 프린터 캐시 초기화
사용자 프로필에 남아 있는 잘못된 장치 매핑이 엑셀의 인쇄 UI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아래 경로의 프린터 관련 하이브를 백업 후 정리한다.
regedit 실행 후 내보내기(백업)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evices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PrinterPorts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dows
4.2 기본 프린터 문자열 점검
...CurrentVersion\Windows
키의
Device
문자열이 존재하지 않거나 형식이 깨지면 일부 앱에서 프린터 열거 실패가 발생한다. 정상 장치로 다시 지정한다.
PowerShell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y /n "정상_프린터_이름" # 기본 프린터로 지정
4.3 Office 사용자 설정 초기화(선택)
프로필 문제가 의심되면 Office 사용자 설정을 리셋한다. 필요 시 해당 버전 하이브를 이름 변경하여 초기화를 유도한다.
regedit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Office\16.0\Excel → Excel_old 로 변경
다음 기동 시 기본 설정으로 재생성된다. 회사 표준 템플릿이 있는 경우 사전 백업이 필요하다.
5단계: 네트워크·드라이버 신뢰성 강화
5.1 포트 안정화 전략
WSD 포트는 자동 검색 기반으로 편리하지만, 네트워크 변동이나 멀티 NIC 환경에서 장치 탐색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가능하면 고정 IP를 할당하고 TCP/IP 포트로 전환한다.
5.2 드라이버 모델 일원화
여러 제조사의 구형 Type 3 드라이버가 혼재하면 스풀러 충돌 가능성이 상승한다. 제조사 공용(PostScript/PCL) 최신 패키지로 통일하고, 불필요한 구버전 드라이버를 제거한다.
5.3 인증서·서명 검증
기업 환경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가 차단될 수 있다. 드라이버 패키지 서명과 루트 인증서 체인을 검증한다.
실전 체크리스트: 10분 안에 복구 루틴
-
엑셀 완전 종료 후
excel.exe /safe
로 실행하여 선택 가능 여부 확인한다. - 가능하면 추가기능 충돌이므로 모든 추가기능을 해제 후 하나씩 활성화하며 원인을 특정한다.
- 불가이면 관리자 권한 실행 여부를 해제하고 일반 권한으로 재실행한다.
-
%TEMP% 및
%appdata%\Microsoft\Excel
캐시 폴더를 정리한다. -
스풀러 초기화 명령(
net stop spooler
→ PRINTERS 폴더 비우기 →net start spooler
)을 수행한다. - “Windows에서 기본 프린터를 관리” 옵션을 끄고 기본 프린터를 명시 지정한다.
- 가상 프린터(Microsoft Print to PDF)를 추가하고 엑셀에서 선택 가능한지 시험한다.
- 네트워크 프린터는 TCP/IP 포트로 전환하고 최신 드라이버로 재설치한다.
- 여전히 실패하면 사용자 레지스트리의 Devices/PrinterPorts 키를 백업 후 초기화한다.
- 회사 PC라면 GPO·VDI 정책으로 인한 제한 여부를 IT에 확인한다.
문제 유형별 심층 원인과 처방
유형 | 세부 증상 | 근본 원인 | 권장 처방 |
---|---|---|---|
추가기능 충돌 | 안전 모드에서만 선택 가능 | COM 애드인에서 인쇄 대화 후킹 | 문제 애드인 영구 제거 또는 업데이트 |
스풀러 손상 | 모든 앱에서 프린터 미표시 | 스풀 폴더에 고아 파일 잔존 | 스풀러 초기화 및 서비스 자동 시작 |
권한 불일치 | 관리자 실행 시만 미표시 | 사용자 범위 드라이버 열거 실패 | 일반 권한 실행, 드라이버 범위 통일 |
WSD 불안정 | 간헐적 인식, 네트워크 변경 시 악화 | 디스커버리 실패 | TCP/IP 고정 포트로 전환 |
정책 제한 | 회사 PC 신규 프린터 추가 불가 | GPO 인쇄 제한 | 정책 완화 요청 또는 허용 목록 등록 |
프로필 캐시 | 특정 사용자만 문제 | Devices/PrinterPorts 불일치 | 레지스트리 초기화 후 기본 프린터 재지정 |
PowerShell·명령줄 실무 스니펫
스풀러 초기화 일괄 처리
# 관리자 PowerShell Stop-Service -Name Spooler -Force Remove-Item -Path "$env:windir\System32\spool\PRINTERS\*.*" -Force -ErrorAction SilentlyContinue Start-Service -Name Spooler
프린터 목록·기본값 점검
# 목록 조회 Get-Printer | Select-Object Name, DriverName, PortName, Shared, Default
기본 프린터 설정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y /n "프린터이름"
문제 드라이버 제거/추가
# 제거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dd /m "드라이버_정식_이름" /h "x64" /v "Type 3 - User Mode"
추가
rundll32 printui.dll,PrintUIEntry /ia /m "드라이버_정식_이름" /h "x64" /v "Type 3 - User Mode" /f "C:\Drivers\Driver.inf"
엑셀 관련 고급 팁
- 파일 → 옵션 → 고급 → 일반 →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동적 데이터 교환(DDE)” 관련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구한다.
- 템플릿 또는 추가기능이 인쇄 대화상자에 커스텀 UI를 주입하는 경우가 있다. 기업 전용 애드인의 최신 빌드를 적용한다.
- 대용량 스프레드시트에서 인쇄 미리보기 생성 지연으로 선택 UI가 늦게 활성화되는 사례가 있다. 시트를 새 통합문서로 복사해 재현을 비교한다.
macOS에서의 엑셀 프린터 선택 불가
macOS에서는 CUPS 큐 손상으로 인한 프린터 미표시가 잦다. 다음을 수행한다.
# CUPS 재시작 sudo launchctl stop org.cups.cupsd sudo launchctl start org.cups.cupsd
프린터 재추가: 시스템 설정 → 프린터 및 스캐너
엑셀 환경설정 캐시를 초기화하고, Microsoft AutoUpdate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예방 전략
- 프린터 드라이버는 제조사 LTS 버전으로 표준화한다.
- TCP/IP 포트 사용을 기본 정책으로 하고, WSD는 예외로 한정한다.
- 로그온 스크립트나 MDM으로 기본 프린터를 강제 설정하여 사용자별 편차를 줄인다.
- Office 채널을 월간 엔터프라이즈 채널로 고정하여 예측 가능한 업데이트 윈도를 확보한다.
- 대량 배포 전 소수 그룹에서 애드인·드라이버 상호 호환성을 검증한다.
FAQ
엑셀에서만 프린터 선택이 안 되고 다른 앱은 정상인 경우 어떻게 하나?
엑셀 안전 모드로 실행하여 선택 가능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가능하다면 추가기능 충돌 가능성이 높다. 모든 추가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하나씩 활성화하며 원인을 특정한다. 동시에 %TEMP% 및 엑셀 캐시를 정리하고 Office 빠른 복구를 수행한다.
스풀러 초기화 후에도 프린터가 보이지 않는다.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
가상 프린터(Microsoft Print to PDF)를 추가하여 시스템 인쇄 서브시스템 자체 동작을 검증한다. 네트워크 프린터라면 TCP/IP 포트로 전환하고 최신 드라이버로 재설치한다. 사용자 레지스트리의 Devices와 PrinterPorts 하이브를 백업 후 초기화하고 기본 프린터를 다시 지정한다.
관리자 권한으로 엑셀을 실행하면 프린터가 사라진다. 왜 그런가?
일부 사용자 범위 드라이버 또는 UWP 기반 드라이버는 권한 상승 프로세스에서 열거되지 않는다. 엑셀을 일반 권한으로 실행하고, 가능하면 드라이버를 시스템 범위로 재설치한다.
회사 정책으로 프린터 추가가 막힌 상태에서 임시로 인쇄할 방법이 있나?
Microsoft Print to PDF로 출력한 뒤 PDF 뷰어에서 네트워크 인쇄가 허용되는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다만 정책 위반 가능성이 있으므로 IT 가이드를 따른다.
원격 데스크톱에서만 프린터가 보이지 않는다. 어디를 확인하나?
RDP 클라이언트의 프린터 리디렉션 옵션을 활성화하고, RD 세션 호스트의 Easy Print 정책과 세션 프린터 매핑 정책을 점검한다. 로컬과 세션에 동일 드라이버를 유지하여 호환성 문제를 줄인다.